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전체 수강후기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최*덕 2022.11.11

    수강 후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 금정캠퍼스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최*희 2022.11.11

    교육 감사합니다

    과정아이콘 2022 동작캠퍼스 주민자치학교

    실질적인 사례교육도 필요할거 같습니다.

    주민자치회의 예산집행에 대하여 교육이 있으면 합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이*자 2022.11.11

    잘 들었습니다.

    과정아이콘 2022 동작캠퍼스 주민자치학교

    강의가 너무 딱딱했습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김*식 2022.11.09

    지방자치분권

    과정아이콘 2022 동작캠퍼스 주민자치학교

    지방자치의 주인은 '지역주민'이고, 대표는 지방정부 즉 자치단체이다. 

    지방자치는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다양한그룹, 다양한 집단, 영역들이 존재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방자치는 공무원들이 하는 행정단위로 여겨지는 경향이 많다. "지방자치는 중앙정부의 작은 축소판이다"라는 이야기는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현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현실은 언론도 없고, 시민단체, 정당도 없다.

    '참여자치'를 해야 하는데, 현재는 전무한 상태이다. 현재 나타나는 현상은 중앙정부 행정의 보조역활만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이번 수강을 통해 바르게 알게 되었다.

    지금으로서는 많은 변화가 쉽지는 않겠지만, 지역을 바르게 알 수 있는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 노력하고, 조금 더 지역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행동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김*수 2022.11.09

    지방자치의 우선적 과제는?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합리적 분권! 합리적 권력을 지방에 이양 해야 한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조*주 2022.11.09

    자치와 분권 그 중심에는 시민들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자치와 분권 그 중심에는 시민들의 관심과 행동이 중요함을 느끼게되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박*수 2022.11.09

    합리적 분권의 주체는 ?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지방자치분권의 합리성을 확보할 주체가  잘 해야 하는데....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신*용 2022.11.09

    잘 들었습니다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최*석 2022.11.08

    지방자치가 성공하려면 4개의 기둥을 잘 세워야 합니다.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김병준 교수님의 여는 강의, 너무 좋았습니다.


    지방자치가 성공하려면 4개의 기둥을 잘 세워야 합니다~!!


    4개의 기둥

    (1. 합리적인 분권, 2. 제대로 구성된 지방정부, 3. 경영능력을 갖춘 지방정부, 4. 주민들의 생산적인 참여) 

    중 무엇부터 세워야 하나~?

    합리적인 분권 (권력배분) 을 실현함으로써 즉, 권력을 가져야지 지방정부의 경영능력도 생기고 지역주민들의 관심도 생긴다 그럼으로써 여러 문제들에 대한 담론도 생긴다 (지방정부나 지방의회의 선출 및 공천권 등)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전*숙 2022.11.08

    '지방자치는 잘 해야 된다'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지방자치를 잘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기둥이 제대로 서야 한다. 에 공감을 했습니다.

    첫째: 합리적인 분권(중앙, 지방이 해야할 일 -선분권)

    둘째: 지방정부 구성(제대로 지방의원, 자치단체장의 구성)

    셋째: 경영능력을 갖춘 지방정부(상상력과 창의력이 살아나는 집행능력)

    넷째: 주민들의 생산적인 참여(시간적, 물적 참여필요)

    *자치와 분권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광역차원에서도 정당공천을 배제하는 게 좋지 않겠나 하는 생각에 공감합니다.

자치분권대학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