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전체 수강후기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전*숙 2022.11.26

    인구가 어떻하면 지역을 떠나지 않을까?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지방 인구소멸을 들어면서 어떻하면 본인이 살고 있는 community을  이주하지 않고 잘 살아갈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생겼다. 출산문제, 일자리문제, 주거문제, 교육문제, 여가 문화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게 무엇일까?  그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주민들이 본인이 살고 있는 곳에 소속감을 느끼고 주민들의 결속력을 다지는 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김*호 2022.11.26

    지방소멸~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지방소멸 대책을 생활인구를 늘리고 복수주소제시행  등에 공감합니다.

    나아가 농촌지역 빈집이 늘고있는 상태이므로  농촌지역 주택 취득시 1가구2주택 소유로 인한 각종제한규정을 보다  완화해야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이러다보면  생활인구가 자연스럽게 증가되게될것  같습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임*수 2022.11.26

    지방소멸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저출산 문제를 결혼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공간의 문제로 보고 이를 근거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강의 내용에 참 공감이 갑니다. 잘 모르던 내용을 새롭게 배웠습니다. 거주인구를 늘릴 수 없다면 생활인구라도 늘리려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에도 동의가 됩니다. 일본 오끼나와에서는 시골 빈집을 관청에서 구입하고 리모델링하여 한 달 살기 집으로 임대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시골 빈집을 활용하여 한 달 살기 든 6개월 살기 든 유도하면 빈집문제도 해결되고 생활인구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류*숙 2022.11.25

    주민자치

    과정아이콘 2022 동작캠퍼스 주민자치학교

    민주주의의  기본이 되는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우리들의 실제적인 삶의 개선을 위해 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 할 때 생활의 변화가 생기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으며 사기꾼 엉터리 정치꾼들에게 우리의 삶을 좌지우지 당하지 않고 살 수 있다.


      각 사람 한 사람 한 사람이 깨어나서 각자 노력 할 때 마을도 주민도 국가도 국민도 올바른 미래를 보장 받을 수 있다.

    공부하는 주민,  공부하는 주민, 국가정신이 투철한 국민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민자치위원회는 매우 중요한 책무성을 느껴야 한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조*주 2022.11.25

    지방소멸의 종합적 대책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일자리,교육, 주거, 문화 등의 종합적 대책으로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고 공동체 기능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함에 공감합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김*표 2022.11.25

    지방소멸은 일자리,교육,주거,문화 등 종합적 대책 필요!!!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구례,서천,함양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지방 소멸 대응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저출산 고령화의 천편일률적인 정책

    보다는 일자리,교육,주거,문화  등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겠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전*숙 2022.11.23

    중앙집권의 한계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우리나라가 21세기에 주도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중앙집권국가가 아닌 지방분권국가로의 전환이 필수적" 와 닿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방이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현 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리라 봅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전*숙 2022.11.23

    지방 부흥의 실패와 원인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지방정부의 주도권과 주민의 주인의식 고취 미비로 지방 부흥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방시대에 자치와 분권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과감한 주도권을 지방에 이양하고 이에 걸맞는 주민의 주인의식 함양이 관건인것 같습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임*수 2022.11.23

    역대정부의 지방부흥정책과 실패의 반복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조선시대에는 한양에서 벼슬살이 하다가 물러나면 고향으로 내려가 그 지역의 명성에

    일조하곤 했습니다. 요즘도 좀 그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오늘날은 성공한 사람들이 

    모두 서울과 수도권에 살고 싶어하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역시 생각과 의식이 선행되어야 지방도 발전할 듯 합니다.

  •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별점아이콘
    임*수 2022.11.22

    한국, 중앙집권의 성취와 한계

    과정아이콘 [2022 가을학기]지방시대, 자치와 분권으로 열어갑니다

    예술과 문화를 꽃피우는 데는 지방분권이 중요하다는 메시지가 가슴에 와 닿습니다. 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각 지자체별로 다양한 문화 및 예술행사들이 활성화된 것을 보면 지방분권 이전에 비해 격세지감을 느낄 정도

    이니 지방분권의 위력을 느낍니다.   

자치분권대학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