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법 211개 조문 전체 해설을 담은 지방자치법 해설서. 1988년 이후 사실상 32년만에 개정된 지방자치법은 무엇을 이야기 하고 있을까요? 어떤 시대적 변화를 가져올까요?
'처음 만나는 자치분권 교과서' 다양한 분야 학문과의 접합을 통해 학습서 역할 못지않게 자치분권에 대한 새로운 고찰의 시작점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책.
“우리는 지방자치를 할 준비가 되어 있나?” 지역 내부의 식민성을 넘어 옹골찬 지방자치를 이루기 위한 도전과 제언
〈지방재정과 재정연방주의〉, 〈지방분권화와 지방재정〉, 〈지방공공재의 효율성과 최적공급 및 비용부담〉, 〈지방정부 세입구조와 현황〉, 〈지방자주재원〉, 〈자주재원동원의 정치경제〉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
시간흐름이 새마을운동을 변화시키는가 아니면 새마을운동이 시간을 바꾸고 있는가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한 깊은 고찰.
'지방자치' 의 구체화, 그리고 지방자치의 물적 기초를 이루는 '지방재정' 의 자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틀을 어떻게 갖추어나갈 것인가.
스위스의 정치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상황에 맞는 해법을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