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추천라벨 메인 이미지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 -한국의 새마을운동 사례-

상품 정보

저자
소진광
출판사
박영사
출간일
2020년 04월 22일

상품가격

34,000원

정가 34,000원

배송금액 무료

할인금액

총 결제 금액 34,000원

도서소개

<참고도서>에는 자치분권대학 교수님들의 저서 일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자치분권대학출판부에서 발행한 책이 아닐경우 직접 도서를 판매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저술의 시작은 2013년 저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의 늪’에서 출발하고 있다. 

저자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가 양극단을 달리는 이유를 정리하고 싶었다. 

‘시간흐름이 새마을운동을 변화시키는지 아니면 새마을운동이 시간을 바꾸고 있는지’에 대한 

지극히 소모적인 사유(思惟)에서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끌렸다. 

이러한 호기심으로 저자는 가끔 깨달음의 희열을, 

그리고 종종 인식의 한계와 무지의 절망감에 빠져 7년여를 지루하지 않게 보냈다.

 

시간이 흘러도 사실관계는 변하지 않아야 될 것 같은데, 

동일한 사실관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처음 이 저술의 목적은 새마을운동에 대한 저간의 오해와 편견을 풀어보자는 것이었지만, 

원고를 쓰면서 저자의 호기심은 ‘사회변화’와 ‘인류 집단의 진화’로 옮겨 갔다. 

이러한 호기심의 전환이 오히려 이 책의 처음 의도를 더 잘 실현하리라고 기대해본다. 

 

국제사회가 한국의 새마을운동에 주목하면서 새마을운동을 수식하는 단어도 다양해졌다. 

‘아직도 새마을운동?’이라든가 ‘그들의 새마을운동’ 혹은 ‘우리의 새마을운동’, 또는 ‘지구촌 새마을운동’과 같은 표현처럼 

새마을운동의 시간범위와 공간범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고 다양하다. 

시간은 사물이나 사건의 존재범위를 표현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이지, 사물이나 사건 자체는 아니다. 

시간흐름으로 인식의 틀이 바뀌면 사물이나 사건이 달리 해석될 가능성은 있을 수 있다. 

현재의 인식도구로 과거에 존재했거나 일어났던 사물과 사건을 바라보거나 

현재의 관점에서 미래 상황을 예견하는 경우가 여기에 속할 것이다. 

결국 저자의 지적 호기심은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모아졌다.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은 어느 한 순간에 만들어지는 창조물이 아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진화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특정한 종(種, species)은 시간흐름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진화하더라도 동일체를 검증할 수 있는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이제까지 인간생활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시간좌표와 공간좌표를 결합하고 

인류문명의 발전현상을 이어온 유전자를 탐색하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책은 이러한 발전현상의 사례로 1970년 한국에서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다룬다. 이 저술의 처음 의도가 바뀐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는 본래 의도로 회귀한 셈이다. 

그렇더라도 이 책을 2020년에 맞춰 출간하게 된 이유는 ‘새마을운동’ 반세기를 돌아보고 싶은 저자의 속마음에서다. 

반세기는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정책의 진화과정을 검토하기에 필요한 최소 시간흐름이다.

 

저자소개

소진광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졸업, 동 대학원 행정학 박사

• 가천대학교(구 경원대학교) 지역개발학과, 행정학과 교수(학장, 대학원장, 부총장) 역임

• 한국지방자치학회 제11대 회장, 한국지역개발학회 제14대 회장 역임

• 국무총리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및 이사장 직무대행 역임

• 새마을운동중앙회 제23대 회장 역임

• 현재 가천대학교 명예교수, ㈜경동엔지니어링 해비타트 연구소장

 

목차

제1편 지역발전의 시ㆍ공간 좌표: 사회진화를 측정하는 도구의 탐색

제1장 민주주의와 공공부문

제2장 지역발전 패러다임

제3장 지역발전의 시간함수

제4장 지역발전의 공간함수

제5장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 모형

제6장 지역사회 공동체의 시ㆍ공간 함수: 공동가치와 가치사슬

 

제2편 새마을 운동의 생태계와 성과

제7장 새마을운동의 시대배경과 공공정책 맥락

제8장 새마을운동의 태동과 추진체계

제9장 새마을운동의 성과

제10장 새마을운동을 통한 지방정부의 혁신

제11장 새마을운동을 통한 마을 공간구조 변화

제12장 새마을운동의 지구촌 확산과 진화

 

제3편 새마을운동 진화의 시ㆍ공간 좌표: 관련 인사와의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제13장 국내 새마을운동 성격과 관련한 시ㆍ공간 좌표

제14장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시ㆍ공간 좌표

자치분권대학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 퀵배너이미지